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기4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150 피뢰시스템 등급 LPL 안녕하세요 사이비교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피뢰시스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피뢰시스템은 영어로 Lightning Protection 입니다. 하늘에서 떨어지는 번개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말합니다 피뢰는 KEC 이전에도 IEC 62305를 기반이었기 때문에 거의 큰 변화가 없습니다 151.1. 피뢰시스템의 적용 범위 전기전자설비 (통신, 컴퓨터, 제어계측시스템, 전력전자설비 등과 같이 민감한 전자소자)가 설치된 건축물 또는 다리등의 구조물로서 낙뢰 보호가 필요하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20M 이상인 경우 또는 독립적으로 설치된 수배전 전기설비 (저압,고압,특고압) 및 전자설비 중 낙뢰의 보호가 필요한 경우 151.2 피뢰시스템의 구성 외부피뢰시스템 : 직격뢰 (번개) 내부피뢰시스템 : 간접뢰 (번개가 땅으.. 2023. 5. 1.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143 등전위본딩 보조등전위본딩 2.5미터 등전위본딩은 여러가지로 분기 되어서 설명하여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보조등전위본딩은 통합접지에서 많은 오해와 명확하지 않은 규정으로 혼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 KEC 143부터 등전위본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KEC 143 보조등전위본딩 2.5미터 143.1 등전위본딩의 적용 등전위 (전압차이가 없음)을 형성하기 위해 도전부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 뜻합니다 등전위본딩도체는 주접지단자에 연결하여야 합니다 건축물의 외부에서 인입하는 배관은 연결하여야 합니다. 1. 가능한 인입구 부근에서 각종 금속제 인입설비의 배관은 최대 단면적을 갖는 부분이 접속해야 한다 2. 수도관, 가스관의 배관은 최초 밸브 후단에서 등전위본딩해야 한다. 143.2.1 보호등전위본딩 보호등전위본딩은 건축물 외부.. 2023. 4. 28.
한국전기설비규정 142 공통접지와 통합접지 SPD 서지보호장치 안녕하세요 사이비교수입니다. 이번에는 KEC 142.3.7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주접지단자부터 시작해서 공통접지, 통합접지, SPD를 소개합니다. 한국전기설비규정 142 공통접지와 통합접지 SPD 서지보호장치 KEC 142.3.7 주접지단자 주접지단자에는 등전위본딩도체, 접지도체, 보호도체, 기능도체를 접속하기 위한 부스바이다. 보호등전위본딩으로 사용되는 모든 설비에는 기능성 접지도체를 주접지단자에 접속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기실 수배전반에 연결되는 접지 단자입니다. 바닥에서 아주 굵은 접지 케이블이 전기실에 연결됩니다 KEC 142.6 공통접지 및 통합접지 고압 및 특고압과 저압 전기설비의 접지극이 가깝게 시설되는 곳은 공통접지를 할 수 있다 한전으로부터 직접 고압 및 특고압 수전을 해서 변압기로 저압으.. 2023. 4. 25.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142 접지도체 보호도체 TN-S 계통 안녕하세요 사이비교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KEC 142.3 접지도체와 보호도체를 공부해보겠습니다. 접지도체란 계통 설비와 접지극을 연결하는 도체이며 보호도체는 고장전류의 귀로를 만들어서 감전을 방지하기 위한 도체라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KEC 핸드북 더 자세히 바로가기 KEC 142.3.1 접지도체 접지도체의 최소 단면적은 구리는 6㎣ 이상이어야 한다 피뢰시스템이 연결되는 경우에는 구리 16㎣, 철 50㎣이상이어야 한다 큰 고장전류가 흐른다면 KEC 142.3.2 계산식에 따라서 계산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구리도체 6㎣에 0.5초 동안 지락전류는 1200A 이나, 차단시간이 0.1초로 짧아지면 2500A도 가능하다 TN 계통에서는 큰 지락전류가 접지도체를 통해서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접지도체는 최소 단면적.. 2023. 4. 25.
한국전기설비규정 142 대지저항 접지극 부식 한국전기설비규정 KEC의 접지 대지저항과 접지극 부식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3.04.19 - [분류 전체보기] -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140~141 접지 종류 (공통 통합접지) 먼저 접지시스템의 구성입니다. 접지극, 접지도체, 보호도체 및 기타 설비고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접지단자에 보호등전위본딩도체, 접지도체, 보호도체 등을 연결하고 직접 연결하여야 합니다 주접지단자란 접지설비의 일부로서 접지를 목적으로 여러 도체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부스바를 말합니다 접지 시스템의 요구 사항입니다 접지시스템은 TN, TT, IT 계통의 구성등에 따라서 보호 요구 사항을 충족하여야 합니다 접지도체의 최소단면적은 보호장치가 고장전류를 차단할 동안에 필요한 기계적이고 열이 발생하는 경우를 견뎌야 하고 K.. 2023. 4. 23.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140~141 접지 종류 (공통 통합접지) 안녕하세요 사이비교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KEC 140절 접지시스템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구) 판단기준 및 내선기준에서 KEC로 넘어오면서 가장 크게 바뀐 개념입니다 IEC와 IEEE까지 가지고 오면서 기존 일본 JIS 체계의 접지에서 유럽식의 접지로 바뀌었습니다 KEC는 단순하게 지나가지만 핸드북 등을 통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KEC 더 자세히 알아보러 바로가기 KEC 141 접지시스템의 구분 및 종류 - 계통접지 : 변압기 2종 접지와 유사 개념입니다 - 보호접지 : 기존 3종 접지와 유사 개념입니다 - 피뢰접지 : 기존 피뢰접지와 동일합니다 - 단독접지 : 기존 접지 개념 (모두 분리)과 동일합니다 - 공통접지 : 특/고압+저압 접지와 통신 분리 피뢰 분리한 것입니다 - 통합접.. 2023. 4. 1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전로의 절연 안녕하세요 사이비교수입니다 이번에는 KEC 130 전로의 절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절연 저항이란 절연체를 뚫고 나오지 못하게 높은 저항이 막고 있어서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라고 생각하면 되고 전압이 올라갈수록 절연이 파괴되면서 전기가 통하기 때문에 더 비싼 자재로 만들거나 더 두껍게 만들어야 합니다 131. 전로의 절연 원칙 전로는 다음 이외의 경우를 제외하고 항상 대지와 절연하여야 한다 1. 고압 또는 특고압과 저압이 만나면 큰일이 나는 위험방지 시설 2. 계기용 변압기의 2차측 전로에 접지공사를 하는 경우의 접지점 -> PT는 접지하면 고장납니다 주의 사항 3. 중섬점이 접지된 특고압 가공선로의 중성선에 25kV 이하인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시설에 따라 다중으로 접지한 경우의 접지점 4. 파이프라인 .. 2023. 4. 1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전선 선정과 종류 안녕하세요 사이비교수입니다 이전 시간에는 KEC 공부를 시작하면서 목적과 정의, 그리고 안전의 보호까지 KEC 110절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전 시간에 이어서 KEC 120 전선부터 공부해보겠습니다. 121 전선의 선정 및 식별 121.1 일반 요구사항 1. 온도에 견딜 수 있는 것 2. 전기,기계적 응력에 견딜 수 있는 것 3. 전기 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KC) 적용 받는 것 이외에는 KS에 적합하거나 동등 이상의 것 121.2 전선의 식별 122. 전선의 종류 122.1 절연전선 1. 저압 절연전선은 450/750V 비닐절연전선,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난연 가교폴리올레핀절연선, 고무절연전선을 사용 2. 고압,특고압 전선은 KS에 적합하거나 동등 이상 122.2 코드 .. 2023. 4. 1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적용과 목적 접지의 이해 안녕하세요 사이비교수입니다 전기사업법에 근거한 한국전기설비규정 (KEC)를 1장부터 중요한 사항을 정리해 가면서 공부해 보는 곳입니다 앞으로 사이비교수와 함께 여러가지 전기설계자가 알아야 하는 중요 포인트에 대해서만 공부해 보겠습니다! 1. 공통사항 KEC는 100 총칙부터 200, 300, 400, 500처럼 주제가 달라지면 앞자리가 바뀌면서 진행합니다 101 목적 한국전기설비규정 (Korea Electro-technical Code, KEC)는 기술적 요구 사항을 구체적으로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102 적용범위 저압~고압~특고압 전기설비와 철도설비, 분산형 전원설비, 발전용 화력설비, 발전용 수력설비, 그 밖의 전기설비 111 통칙 111.1 적용 범위 저압 : 교류 1000V 이하, 직류 150.. 2023. 4. 18.
728x90
반응형